생활정보연구소

국내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분석, 인터넷트렌드 확인 방법 본문

블로그

국내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분석, 인터넷트렌드 확인 방법

생활정보연구소 2021. 9. 13. 18:17

블로그나 온라인 마케팅을 하신다면 가장 중요한 플랫폼이 바로 검색엔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검색엔진은 네이버, 구글, 다음인데요. 과연 현재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은 어떻게 될까요? 한 번쯤 궁금하지 않았나요? 2021년 9월 기준 ① 국내 검색엔진 점유율 현황 ②최근 5개년 검색엔진 점유율 추이 ③검색엔진 점유율 분석 ④인터넷 트렌드 활용하는 방법 공유합니다.

 

 

1. 국내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21년 9월 기준]

네이버가 1등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을 거예요. 그러면 2위는 다음? 아니면 구글? 시장점유율 순위는 네이버>구글>다음>빙>줌 입니다. 네이버 57%, 구글 36%, 다음 5%입니다. 빙과 줌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되고요. 저는 네이버가 80% 이상일 거라고 생각했었는데요. 의외의 결과입니다.

 

국내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21년 9월 기준]

 

제 티스토리 블로그의 유입은 구글, 다음, 네이버가 1/3씩 차지하고 있는데요. 구글은 실제 점유율과 비슷하고 네이버에서는 노출이 잘 안되고, 다음엔 노출이 잘 되는 특성상 이렇게 된 거 같습니다. 티스토리가 카카오 자회사라 그런지 네이버에서는 갈수록 노출 순위가 밀리더라고요.

 

티스토리 검색엔진 유입 현황 (생활정보연구소)

 

2. 최근 5개년 국내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추이

제가 블로그에 처음 관심을 가졌을 때가 2017년이었는데요. 당시에는 네이버 검색이 독보적이었습니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지금 상황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최근 5개년 국내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추이

 

2017년 무려 87.3%였던 네이버의 검색엔진 점유율이 2021년은 56.5%까지 떨어졌습니다. 이 떨어진 점유율은 그대로 구글이 가져와서 현재 35.8%가 되었고요. 다음 검색은 안 그래도 미미한 점유율이 매년 줄어들기만 하고요. 그나마 다행스러운 점은 2019년부터 구글의 상승세가 꺾여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3. 구글의 비상과 네이버의 추락

이 드라마틱한 시장점유율의 변화, 이유가 뭘까요? 저는 구글이 잘하고, 네이버가 못해서 일어난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1) 구글의 비상

2017년부터 유튜브와 크롬 브라우저의 점유율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구글을 이용율도 늘었습니다. 현재 유튜브의 위상은 말 안 해도 잘 아실겁니다. 그리고 인터넷익스플로어는 빠르게 구글크롬으로 대체되어 지금은 크롬브라우저의 점유율이 70%에 육박합니다. 이처럼 구글은 유독 검색엔진에서 죽을 쑤던 한국 시장에서 조금씩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습니다.

 

 

2) 네이버의 추락

구글이 치고 올라올 때 네이버는 뭘 하고 있었을까요. 정말 답답합니다. 인플루언서 제도를 만들어서 소위 파워블로거만 살아남는 생태계를 만들어 버렸습니다. 게다가 네이버 블로그를 제외한 타 플랫폼 콘텐츠의 노출을 뒤로 밀기만 했고요. 이렇게 갈수록 폐쇄적인 구조로 가니 누가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겠습니까?

 

 

검색을 해도 문제입니다. 죄다 광고, 홍보성 글뿐이잖아요. 과연 이런 쓰레기 글들을 거르는 노력이라도 하고 있는지 의심스럽습니다. 저 또한 네이버에 질려서 구글이나 다음 검색엔진으로 돌아선 지 오래입니다.

 

이젠 차라리 다음이 치고 올라오길 바랍니다. 다음은 카카오톡이라는 강력한 플랫폼이 있으니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지 않을까요?

 

 

 

4. 인터넷 검색엔진 분석툴 인터넷트렌드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이나 트렌드를 확인하기 좋은 사이트가 있습니다. 저 또한 인터넷 트렌드라는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었는데요. 검색엔진 시장점유율뿐만 아니라 방문자 특성, 방문자 환경, 유입특성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트렌드 홈페이지

 


 

정말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구글 검색이 유일하게 고전을 면치 못하는 나라가 러시아, 중국, 한국이었는데요. 우리나라도 결국 공룡기업 구글에 잡아 먹히는 걸까요. 네이버, 카카오 둘 다 정신 좀 차리고 국산 검색엔진의 자존심을 지켜 주길 바랍니다.

공유하기 링크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