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연구소
우리나라 행정구역별 인구 증가율, 인구밀도, 면적 현황 본문
학교 다닐땐 우리나라 인구는 4천만이라고 알고 있었는데요. 어느새 5천만 대한민국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인구증가율도 정체가 된 상황이라 당분간 대한민국 인구는 5천만을 유지할 거 같습니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 행정구역별 인구, 면적, 인구밀도, 인구 증가율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로 행정구역별 인구, 인구밀도, 면적, 인구증가율, 인구전망 등 각종 통계자료는 통계청과 e-나라지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인구
우리나라의 인구는 2018년 현재 5천1백6십만명으로 5천만 인구입니다. 수도권의 인구는 전국 인구의 49.8%에 해당하는 2,567만 명입니다. 생각보다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하네요. 수도권 외는 부산, 경남, 경북, 대구, 충남 순입니다. 우리나라는 인구는 수도권과 영남권으로 양극화 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18년 |
면적 [㎢] |
인구 [천명] |
인구밀도 |
계 |
100,377.7 |
51,607 |
514 |
서울 |
605.2 |
9,705 |
16,034 |
부산 |
769.9 |
3,400 |
4,416 |
대구 |
883.5 |
2,450 |
2,773 |
인천 |
1,063.3 |
2,939 |
2,764 |
광주 |
501.2 |
1,493 |
2,980 |
대전 |
539.5 |
1,518 |
2,813 |
울산 |
1,061.5 |
1,154 |
1,088 |
세종 |
464.9 |
304 |
653 |
경기 |
10,187.8 |
13,031 |
1,279 |
강원 |
16,827.9 |
1,521 |
90 |
충북 |
7,407.8 |
1,619 |
219 |
충남 |
8,229.2 |
2,180 |
265 |
전북 |
8,069.1 |
1,820 |
226 |
전남 |
12,343.6 |
1,790 |
145 |
경북 |
19,032.9 |
2,674 |
141 |
경남 |
10,540.1 |
3,356 |
318 |
제주 |
1,850.2 |
653 |
353 |
[표1: 우리나라 행정구역별 면적, 인구, 인구밀도]
2. 인구밀도
서울의 인구밀도는 가히 상상을 초월합니다. 평균 5백 명인데 서울은 1만6천 명입니다. 그리고 수도권, 광역시가 천명 이상으로 높은 편이며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곳은 90명인 강원도입니다.
3. 면적
생각보다 서울의 면적이 큰 편이 아니네요. 대도시 중 오히려 인천, 부산, 대구, 울산이 서울보다 더 큽니다. 행정구역 중 가장 면적이 큰 곳은 경상북도네요. 저는 강원도인줄 알았었는데 경북이었습니다. 반면 가장 작은 곳은 세종시와 광주광역시입니다.
4. 인구증가율
우리나라의 인구는 1949년 2천만 명에서 2018년 현재 5천만 명이 될때까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1995년을 기점으로 인구 증가폭이 감소되어 0.5%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네요.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증가율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림1. 연도별 총조사 인구 및 연평균 증감률(1949~2018)
지난 1년간 시도별 인구 증가율을 보면 대도시의 인구는 줄어들고 있고 시외지역의 인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나 세종시와 제주도의 인구 유입이 눈에 띄네요. 대도시에 집중된 인구가 점점 위성도시 쪽으로 빠지는 추세로 보입니다.
그림2. 2018/2017 시도별 인구 증감률
전국의 229개 시군구 중에서는 전년대비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시군구는 경기 화성시로 69천 명(9.7%)이며, 세종시 36천 명(12.9%), 경기 시흥시 34천 명(7.6%) 순입니다. 반면 인구가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서울 강남구 15천 명(-2.8%), 경기 안산시 14천 명(-1.8%), 인천 부평구 13천 명(-2.5%) 순이었습니다.
인구는 곧 국력입니다. 적어도 인구가 1억이 넘어야 내수시장이 살 수 있다는데 인구증가 대책이 시급합니다. 게다가 특정 지역에 편중된 인구, 노령화 문제 등 많은 문제가 산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고 더욱 부강한 나라로 발전하길 기원합니다.
[출처]
표1. e-나라지표.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 국토현황(행정구역별, 소유자별, 지목별)
그림1, 그림2. 통계청. 2018 인구주택총조사 보도자료 등록센서스 방식 집계결과